본문 바로가기
Java Study/Article Study 2024. 3. 20.

넷플릭스가 콘텐츠 제목을 쓰지 않는 이유?

Article Date 2022.03.20
URL https://brunch.co.kr/@5bb7412700ae45a/1

 

UX 학습의 효과

  • 넷플릭스가 말하는 UX(User eXperience)가 말하는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에게 익숙한 경험을 전달하는 방식
  • → UX를 위해 고민, 가설을 세우고 이를 테스트하면서 발전하는 서비스 형태로 변형 중

경험의 활용은 쉬운 인식의 방식

  • UX의 핵심은 기술이 아닌 사용하는 오프라인 사람들에 대한 이해, 인문학에서 시작
  • UXUI는 구현 방식이 아닌 작동 방식, 어떻게 작동하는 가에 대한 얘기
    • 스티브 잡스, 애플 Mac의 GUI, iPhone의 iOS
    → 넷플릭스의 영화관과 같은 UX를 제공
    • 콘텐츠의 제목을 극장과 같은 포스터 형식, 폰트로 추가X

게슈탈트 이론

  • 출현 Emergence
    • 전체적인 패턴을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형태와 사물에 맞춰 연상
    • 사물을 인식할 떄, 우리는 먼저 전체적인 형상 → 전체를 이루는 부분을 보기 시작
  • 단순함의 법칙 LAW OF PRÄGNANZ
    • 사람은 모호하거나 복잡한 이미지를 가능한 한 단순한 형태로 인지
    • 빠른 인식과 덜 위험, 놀라지 않는 형태를 선호

→ 넷플릭스는 게슈탈트 이론을 통해 직관적으로 비디오 제목을 썸네일로만 확인할 수 있도록 했음

일관성 있는 경험, 학습의 효과

  • 사용자들의 오프라인의 일관된 경험과 이에 따른 학습
    • 영화관 : 포스터 자체로 영화의 장르와 제목과 내용을 어느정도 유추를 할 수 있음
    • 미술관, 박물관, 전시관 : 전시 형태만을 가지고 작품의 정보나 작가의 의도와 개념을 정확히 알기 어려움

다른 OTT 서비스들은 전시관, 이커머스 경험을 활용했지만, 넷플릭스는 영화관의 경험을 OTT에서 활용을 하려고 한 것

사고방식을 바꾸기

  • UX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뀌긴 위해서는 일반적인 사고방식이 아닌 차별화된 사고방식이 필수
  • 많은 데이터의 가설과 입증을 반복하면서 적용하는 어려운 과정
💡 
데이터의 가설과 입증은 PM의 서비스 기획단에서 많은 조사를 통해 이뤄진다. 단, A/B 테스트를 반드시 거쳐야하는데, 이러한 A/B 각 테스트의 구현에 있어서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반드신 필요할 것
프로덕트가 완성이나 개선되어지기 위해서 개발자는 수많은 테스트를 거치고, 그리고 관련 트래픽 데이터를 내서 전달하는 업무를 할 수 있을 것이다. 이 때, 분석과 UI변경은 FE 디자인, 기획단에서 할 수 있음에도 이러한 의도를 BE 개발자 역시 지속적으로 파악을 하고 있어야 전체적인 프로덕트의 완성에 빠르게 효율적으론 다가갈 수 있을것이다.

 

→ 넷플릭스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리뉴얼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던 것